Network

네트워크 기본 실습 환경

Jeong's FP 2018. 3. 23. 14:01

[실습 환경 구성]







구성 순서


1. GNS3 에서 이와 같은 구성을 설정한다

2. Router 에서 기본적인 설정을 구성

3. PC IP 를 잡아준다 

> (위 사진처럼 ip 대역 넣은후 dns 설정도 함께 설정)

> xp :  VMnet1

   kail : VMnet2 



Router 설정


[R1]


no ip domain-lookup   / 도메인 검색을 하지않겠다라는 의미

!

line console 0            / 콘솔 0 

logging synchronous   / 시스템 글자와 섞이지않도록 하기

exec-time 0 0            / 로그인 연결 시간을 무제한으로 한다

int fa0/0

ip address 10.10.1.254 255.255.255.0

no shutdown

!

int fa0/1

ip add dhcp

!



Nat 설정


access-list 1 permit 10.1.1.0 0.0.0.255

!

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 fa0/1 overload

!

ip fa0/0

ip nat inside

!

ip fa0/1

ip nat outside

!

[풀이]


- 엑세스 리스트 1번으로 허용정책을 만들어준다. 범위는 10.1.1.0~255 까지의 뒤 와일드문 생성

- 내부 장비들의 ip를가지고있는 장비는 3대이며 바깥쪽은 1개이다 즉, 변환시켜주는 지점 설정

  및 엑세스 리스트 1번 정책을 적용시켜준다.

- Fa0/0 은 Nat 안쪽을 지정

- Fa0/1 은 Nat 바깥쪽 지정 



이후 연결 테스트 확인


PING WWW.GOOGLE.COM

PING 10.1.1.254


설정 확인


show ip interface brief = 연결된 인터페이스 확인

show ip route = 라우팅 테이블 확인

show ip nat translations = NAT 설정 확인 및 처리 내용 확인



설정하면서 에러 사항


1. GNS3 에서 스위치와 PC가 연결이 되지않는 부분 해결방법

 => 재부팅


2. 리눅스에서 WWW.GOOGLE.COM 이 핑이 안가는 경우가있거나 도메인을 찾지못하는

   경우도 발생한다. 이부분은 DNS 서버를 모르는 경우에 발생한다

   [해결방법]

   echo nameserver 168.126.63.1 > /etc/resolv.conf

   = 위처럼 리졸브 파일은 정방향 네임서버를 확인하는 파일이다.